버튼 누르고 계속 보기
창신동 큰길에서 안쪽으로 들어가면 골목과 골목이 만나는 모퉁이에 약국이 있습니다.
그곳에는 약사 최윤혜 씨가 35년째 터줏대감처럼 자리를 지키고 있는데요.
지난해 봄, 이 골목에 누추한 차림의 50대 노숙인 한 명이 나타났습니다.

약국 창문 너머로, 그 남성은 이른 아침부터 밤까지 리어카를 끌고 폐지와 박스를 모았습니다.
약사는 그 모습을 보며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너무 예쁜 거예요, 살려고 하는 그 마음이. 조금이라도 자립해서 살아가려는 희망이 있구나…”

55살이지만 9살 수준의 지능에, 귀도 잘 안 들리는 최재만 씨.
서울역에서 노숙하다 이곳으로 흘러들어온 재만 씨는, 주소지가 용산구로 돼 있어 종로구 창신1동 주민센터에선 도움을 줄 수 없었습니다.
그런 그의 사정을 마냥 보고만 있을수 없던 약사는 일단, 쪽방 한 칸을 얻어 전입신고부터 해줬습니다.

손님 중에 길 건너 쪽방촌 운영하시는 사장님을 알고있어, 월세 25만 원짜리 쪽방을 계약해 주었다고 합니다.

재만씨는 창신동 주민이 되자 월세 25만 원과 생필품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약사는 지원금을 받을 통장도 만들어줬는데, 이 과정에서 재만 씨가 한 통신사 대리점에서 사기까지 당한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결합상품이 13개나 가입돼 사용료가 5백만 원 넘게 밀려있었는데, 혜화경찰서에서 고소장을 직접 써준 덕분에 150만 원은 돌려받았습니다.
가장 필요한 ‘장애인 등록’은 산 넘어 산이었습니다.

‘장애 진단서’를 포함해 각종 서류를 준비해 냈지만, 국민연금공단은 “선천적인 장애라는 걸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다”며 보완을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재만 씨는 가족이 없어 과거 자료를 구할 수가 없었습니다.
약사 최 씨가 재만 씨에게 물어물어 일생을 직접 글로 정리하고, 주민센터도 관련 자료를 보충해 제출하고서야 장애 인정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수호의 천사.복 받으시고 건강하세요
최윤혜 약사님 너무 존경스럽습니다. 국가 행정이 미치지 못하는 이유는 적극적인 행정이 되지 못해서 입니다. 우리주변에 어려운 이웃을 살펴보고 도움을 주려는 시민의식과 더불어 적극적인 행정활동이 필요합니다. 최약사님처럼 우리모두 주변을 둘러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