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튼 누르고 계속 보기
최근 카이스트에서 원자력을 연구하는 한 교수가 후쿠시마 오염수가 우리 인체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영향은 사실상 거의 없다는 충격적인 발언을 해 많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해당 교수는 그런 주장을 하는 이유로 “우리나라 청정 식단을 통한 음식 방사선 피폭량이 1년간 500μSv(마이크로시버트)인데 후쿠시마 생선만 1년 내내 먹었을 때를 가정한 피폭량은 1마이크로시버트의 100분의 1수준(0.00002%)다”라는 점을 들었다고 하는데요.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방류하고 그 물속에서 자란 생선을 1년내내 먹더라도 지금까지 안심하고 먹어왔던 우리 식단 1년 방사능 피폭량의 5만분의 1수준이라는 것이죠.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는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 때 ‘후쿠시마 방류 안전한가’를 주제로 한 특강을 통해 “우리는 지금까지 민물에서 (방사능을) 섭취해왔지만 아무 문제 없이 살아왔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이후) 100년을 살아도 영향 받을 일은 전혀 없다”면서 청정식단의 1년간 방사능 피폭량과 후쿠시마 산 생선을 비유해 이처럼 예로 들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에 반박을 하는 사람들도 역시 존재 했는데요. 그렇게 안전하면 직접 마셔보라는 질문엔 “(후쿠시마) 오염수가 그렇게 안전하면 보관하라는 것은 무의미한 논쟁이다. 우리가 쓴 생활 폐수도 정화해서 한강과 바다에 간다”며 “그렇다고 정화한 물이 위험하지 않다”고 했다고 하죠.
또한 “중국에서 방류하는(삼중수소 농도는) 후쿠시마 오염수의 50배 정도이고 우리나라도 (방류)하고 있다”며 “그로 인한 영향은 사실 없고, 총량을 따져보면 미미하다”고 지적했다고 합니다.
이어 “후쿠시마에서 수 킬로미터만 가면 희석되고, 1L(리터)에 1Bq(베크럴) 삼중수소가 나온다. 당장 한강 물을 떠서 측정하면 1L에 1Bq 나오고 서울 시민 소변검사 하면 그 정도의 삼중수소가 나온다”고 설명했는데요.
그러면서 정 교수는 “티끌이 태산이 되려면 티끌을 태산만큼 모아야 한다. 티끌은 모아봐야 티끌”이라며 “적은 피폭량을 장기간 받는다고 해도 (인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1베크렐을 장기간 먹어도 아무 영향 없이 살았는데 영향을 받을 이유가 전혀 없다”고 했습니다.
한편 오염수 방류 우려에 따라 소금 사재기 현상이 빚어진 것과 관련해 정 교수는 “삼중수소는 소금에 남아있지 않다. 삼중수소는 물인데, 물 증발할 때 같이 증발한다”며 쓸데없는 기우라고 했습니다.
